February 16 Sunday Sermon Manuscript (English + Korean)
- 열린교회BKUMC
- 2월 12일
- 12분 분량
최종 수정일: 2월 14일

Luke 6:17–26
A Poor Rich Man?
Before we dive into the message, I would like to share some guidance regarding the emails we’ve been receiving about ICE. Since we are an immigrant church, there are concerns that the recent changes in U.S. immigration policy might affect us. If ICE agents ever visit the church, simply direct them to speak with the senior pastor. I will take responsibility and handle the situation. It’s not complicated—just think of it as passing rain. If you can avoid it, that’s good; if not, then use an umbrella.
I returned safely from Korea. It had been a while since I experienced cold weather and walked through snowy streets. It was my first time back in 12 years, but despite my concerns, my body quickly adapted without difficulty. The trip had two main purposes: one was to get as much dental treatment as possible, and the other was to visit places my mother wanted to go without question. Looking back, I realized how little time I had spent with my mother in recent years because I was so focused on my own life.
As soon as I arrived, I went to the dentist and then followed my mother to a place she wanted to visit—a dermatologist. She insisted on removing blemishes from my face. Without knowing much about the clinic other than that it was popular among her church friends, I just went along with it. Although I look fine now, I was shocked at first because my face was completely scabbed over, to the point where I couldn’t go outside. I even worried that when I returned to church, the congregation would think I had cosmetic surgery!
Right after the dermatologist, my mother suggested we get eyebrow tattoos because she said my eyebrows disappear when watching worship services on video. Some church members had also told me to get my eyebrows done in the past, but I always refused because I couldn’t accept the idea. Even now, it feels like a nerve-wracking experience.
I suspect my mother was thinking about how to make the most of my visit and planned everything in advance. I, too, had my own plans. But spending time together reminded me that people have different plans and thoughts, and that sharing time often involves navigating those differences.
Here, we are gathered as a community, each with our own thoughts and plans. It’s wonderful when everything aligns, but when it doesn’t, those differences can become challenging. If we remain focused only on our own perspectives, we may end up facing difficult moments. However, I believe the church community is a place where we seek to support one another despite those differences.
One of the most painful moments for me during this trip was when I revisited the church where I served as an associate pastor. My father had passed away suddenly, and we buried him on the church’s mountain. At that time, the church showed our family great kindness. However, as time passed, I realized how far the burial site was from our family, and I began to regret assuming I would serve at that church forever. My initial sense of permanence gave way to feelings of regret and sadness. This experience reminded me that nothing in life is eternal. Even though we may think we live wisely and flawlessly, we are always incomplete and prone to mistakes and regrets. We must keep our hearts open to that reality.
Although my trip to Korea wasn’t very long, returning to the cold winter made me miss Yeolin Church and its members. I realized how much I longed for the ordinary routines of life. Being away from that daily life for too long felt unfamiliar. This also reminded me of how much we’ve adapted to our differences and learned to harmonize with one another.
Today’s sermon title is “A Poor Rich Man!” While it may sound like a reflection on material wealth, today’s passage in Luke 6:17–26 offers Jesus’ new perspective on who is blessed and who is warned. Pursuing “blessings” is important to all of us. We do everything we can to be happy—whether it’s dieting, eating delicious food, or finding a good job. But we’ve never heard of anyone intentionally becoming poor to be happy. It seems completely unrelated to our lives.
However, today’s message invites us to focus on these so-called unrelated things. Before this passage, Luke describes several of Jesus’ miracles that drew crowds of people. Among those who gathered, Jesus chose His disciples after spending time in prayer. In today’s passage, Jesus descends from the mountain, and again, people crowd around Him.
Verse 18 tells us that most of the people came to hear Jesus’ words and be healed of their diseases. Verse 19 says, “The whole crowd was trying to touch Him, because power was coming from Him and healing them all.” This scene reflects their desperate hope for healing through Jesus’ power.
However, Jesus’ ministry “was not about healing as the conclusion.” In verse 20, Jesus speaks to the people about “who is blessed.” From verses 20 to 23, Jesus says that the following people are blessed. The first group is the poor. Although it is translated as "poor" in the English Bible, the Greek word ἐλεημοσύνη (eleemosune, el-eh-ay-mos-oo´-nay) refers to “acts of charity for the poor.” Jesus says that “the kingdom of God belongs to them.” The second group is the hungry, literally referring to those who are hungry, and He says that “they will be satisfied.” The third group is those who are sad, referring to “those who shed tears” in the original text. He says that “they will laugh.” Finally, in verse 22, “for the sake of the Son of Man”—this means because of Jesus. If you are hated, rejected, insulted, and cast out as evil because of Jesus, He says “you are blessed.” He also says, “your reward in heaven is great.”
Jesus’ definition of “blessing” was very different from what the crowd expected. The crowd gathered for healing and miracles, but Jesus taught them about the blessings of poverty, hunger, and sorrow. These represent those who are struggling with pain and wounds in life, not just those lacking material wealth. The hungry are those who endure each day searching for food, with no hope or expectations. Jesus also warns His disciples that following Him may result in hatred, rejection, and persecution. Yet, even this, He says, is a blessing.
Starting from verse 24, Jesus contrasts these blessings with a series of warnings: “Woe to you who are rich!” But is being rich inherently wrong? The key lies in what follows: “For you have already received your comfort.”
In life, what makes you feel secure? During my trip to Korea, my brother gave me a transportation card. With it, I could take the subway, bus, or taxi without worrying. It felt comforting, like I could go anywhere. However, is that card truly a source of lasting security? No—it only provided temporary comfort.
The problem with the rich in this passage is not their wealth but their self-reliance. They find comfort solely in their possessions and live without concern for others. Jesus calls this attitude dangerous. In contrast, the reason Jesus blesses those who help the poor is because they live with a heart for others. Similarly, those who are “well-fed now” receive a warning because they live only for their own satisfaction. Those who “laugh now” are also warned because they are blind to the pain and sorrow of others, content in their own lives.
The criteria for Jesus’ blessings and warnings are simple: Are you living with empathy and care for others, or are you focused solely on yourself? Jesus urges the crowd to pursue lives that prioritize others and reminds them that following Him may bring hardships.
We live in relationships, relying on others for help and offering our help in return. Sometimes, this requires giving up our personal plans or comforts. Is this what it means to be a disciple? Yes, it is. Being a disciple means living a life of sacrifice, which may lead us in unexpected directions. But such a life also brings new vitality and strength. Helping others empowers us. It’s strange, but through self-sacrifice, we gain strength.
Christianity is never about power. The way Christianity changes the world is not through force or authority but by embodying a life that the world could never imagine—a life that points to the true way of God.
The church’s power is revealed not in dominance but in its willingness to share life and extend compassion to others.
For example, on our church anniversary, we could simply celebrate among ourselves with a nice meal. But we are taking it a step further by fundraising for children who still go hungry. Some might say, “Is that even possible in today’s world?” But there are still people in this world who struggle just to eat one meal a day.
Being a disciple of Christ means standing before such painful realities and offering light and hope to those who are struggling. The phrase “A Poor Rich Man” refers to those who, despite hardship and sorrow, live lives of hope and embody Jesus’ blessings.
Dear Open Church congregation, we are not extraordinary people. We are simply people who live with open hearts, adjusting our thoughts and interests to care for others. This can be called empathy, but in our faith, we call it “the life of a disciple of Christ.”
May we always remember this and strive to live such lives together.
누가복음 6:17-26
가난한 부자?
1. 말씀을 나누기전에 계속해서 ICE에 관련된 메일을 받아서 먼저 안내해드립니다. 아무래도 저희가 이민교회이다 보니까, 최근에 미국의 이민정책으로 인해 벌어지고 있는 어려움이 혹시나 교회에도 미칠 수 있을 것 같은 걱정을 하는 것 같습니다. 혹시 그럴지 모르겠지만, 교회에 ICE요원이 오면 담임목사와 이야기하라고만 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제가 안내하고 이야기할 책임이 있습니다. 복잡하지 않습니다. 그냥 지나가는 비라고 생각하시고 잘 피하고 피하지 못하면 우산을 쓰면 됩니다.
2. 한국에 잘 다녀왔습니다. 추운 날씨를 오랜만에 경험하고 눈도 많이 밟고 왔습니다. 12년만에 다녀온 것인데 걱정과 달리 몸이 잘 기억해서 다니는데 어려움이 없었습니다. 이번에 여정은 두가지 목적이 있었습니다. 하나는 치과진료를 최대한 받는 것이고, 두번째는 어머니가 가자는 곳을 군말하지 않고 가는 것이었습니다. 생각해보면 어릴적에는 제 삶만 관심을 갖느라 어머니와 보낸 시간이 최근에 거의 없다 보니 그런 생각이 든 것 같습니다.
3. 가자마자 치과진료를 받고 어머니가 가자는 곳으로 갔더니 피부과였습니다. 얼굴에 기미와 잡티를 제거해야 한다고 저를 끌고 가셨는데 어머니가 다니시는 교인들이 단골로 가는 곳이라는 것 말고는 아무 정보 없이 이끄시는 대로 다녀 왔습니다. 지금은 괜찮아 보이지만, 밖에 나갈 수 없을 정도로 온통 얼굴에 딱지가 져서 처음에 깜짝 놀랐습니다. 이 얼굴로 다시 교회에 가면 교인들이 목사님 미용시술하고 왔다고 하면 어쩌나 ^^
4. 피부과를 나오자 마자, 이제는 눈썹 문신을 하러 가자고 하십니다. 늘 영상으로 예배를 보면, 제 얼굴에서 눈썹이 보이지 않더라는 것입니다. 예전에 교인들이 저에게도 눈썹 문신을 해야 한다고들 하셨는데, 도저히 제가 받아들일 수가 없어서 하지 않고 왔습니다. 지금 생각해도 아찔한 순간이었습니다.
5. 아마, 오랜만에 오는 아들을 어떻게 다룰 것인지를 고민하시고 계획을 세우신 것 같습니다. 마찬가지로 저도 저만의 계획이 있었는데, 사람들은 저마다 각자의 계획과 생각이 있고, 정해진 시간을 함께한다는 것은 늘 서로 다른 계획과 생각이 부딪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6. 저희들도 이자리에 함께 모여 있지만, 각자가 가진 계획과 생각들이 있을 것 같습니다. 모두가 일치하고 비슷해서 잘 맞으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우리는 그 차이와 다름 때문에 꽤 힘들어 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만약 여기서 다르고 차이가 있는 것을 자기 중심적인 판단과 생각에만 몰입한다면 우리는 참 힘든 시간을 보낼 수 있습니다. 교회공동체는 이런 차이와 다른 생각들을 최대한 드러내지 않고 그래도 내가 함께하는 동료인 교인들에게 힘이 되는 것이 교회가 지닌 다른 모습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7. 이번에 저에게 가장 뼈아프게 느낀 것은 예전에 부목사로 있던 교회에서 사역할때 아버지가 돌아가셨는데, 갑작스럽게 돌아가신 아버지를 그 교회 산에 모신 것이었습니다. 어찌할 바를 모르는 저희 가족에게 교회는 참 좋은 배려를 해주셨었는데, 시간이 지나니까, 가족들이 찾아가기에 좀 멀다는 생각도 들고, 영원한 것이 없음에도 영원히 그 교회에서 사역할 것 같았던 마음에 시간이 한참 지난 이후에는 느껴지는 아쉬움에 대한 저의 가벼움이 가슴 아팠습니다. 우리들은 지금 완벽한 것처럼, 또는 모든 것을 지혜롭게 사는 것처럼 느끼며 살아갈지 모르지만, 우리는 늘 부족하고, 완전하지 않으며 늘 실수 할 수 있고, 후회할 수 있다는 것에 마음을 열어 놓아야 한다는 생각이 가득했습니다.
8. 긴 시간은 아니었지만, 추운 겨울을 보내고 온 저로서는 열린교회와 성도들이 그리웠습니다. 그것을 우리는 일상이라고도 이야기할텐데, 그 시간이 그리웠다는 것은 더 긴 시간, 이 일상을 떠나서 삶을 사는 것은 그리 저에게 익숙하지 않은 일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깨달았습니다. 그만큼 저와 여러분은 불편함과 차이와 다름에 대해서 서로 잘 조율하고 살아가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9. 오늘 설교 제목이 “가난한 부자!”라고 말씀드렸는데, 마치 어떤 물질에 대한 통찰을 이야기할 것 같지만, 사실 오늘 읽은 본문은 누가 복이 있고, 누가 화가 있는지에 대한 예수님의 새로운 통찰이 담겨있습니다. “복”을 추구한다는 것은 우리에게 중요한 일입니다. 행복하기 위해 우리는 최선을 다합니다. 다이어트를 하는 것도, 맛있는 것을 먹는 것도, 좋은 직장을 가지려는 것도 행복을 위한 노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행복하기 위해 일부러 가난해진다는 이야기를 우리는 들어 본적도 없고, 그렇게 산다는 건 우리와 상관없는 것처럼 느껴지실 것입니다.
10. 오늘 말씀은 바로 이 상관없는 것에 우리들이 주목하기를 바라는 예수님의 복음의 방향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오늘 읽은 본문에 앞선 이야기들은 예수님의 기적사건들이 등장합니다. 기적으로 인해 사람들이 몰려들었습니다. 이 몰려든 사람들 중에 예수님의 제자들을 뽑았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다른 복음서와 다르게 예수님은 이미 공생애를 시작하셨고, 기적을 통해 사람들이 몰려들었고, 그렇게 몰려든 사람들 중에 기도하시면서 열두제자를 뽑으셨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오늘 읽은 본문은 바로 이 연장선상에서 예수님이 산에서 내려오셨고, 마찬가지로 사람들이 몰려들었습니다.
11. 이렇게 몰려든 사람들은 18절에 보니까, 대부분 “예수의 말씀도 듣고, 또 자기들의 병도 고치고자”몰려들었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19절에 보니까, “온 무리가 예수에게 손이라도 대보려고 애를 썼다. 예수에게서 능력이 나와서 그들을 모두 낫게 하였기 때문이다”라는 말씀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예수님의 능력을 통해 병이 낳기를 바라는 간절함 들이 느껴집니다.”
12. 그런데 예수님의 사역은 “병고침이 결론이 아니었습니다” 20절에 예수님이 사람들을 향해 “어떤 사람들이 복이 있는 지”를 이야기하십니다. 20절 부터23절까지 예수님은 이런 사람에게 복이 있다고 합니다. 첫번째 가난한 사람, 영어성경에는 Poor로 번역했지만, ἐλεημοσύνη eleemosune, el-eh-ay-mos-oo´-nay;라는 단어로 “가난한 사람을 위해 구제하는 행위”를 말하는 것입니다. 이들에게 “하나님 나라가 저희들 것이라고 말씀하십니다.” 그리고 두번째, 굶주리는 사람, 말그대로 배고픈 자를 말하는데, 이들이 배부를 것이라고 말씀하시고, 세번째, 슬퍼하는 자에게 복이 있다고 하는데, 원어로는 “눈물을 흘리는자”를 이야기합니다. 이들은 곧 웃게 될 것이라고 이야기하십니다. 마지막으로 22절에, 인자를 위해! 이 말은 예수님 때문에라는 의미입니다. 예수님 때문에, 미움을 받고, 배척당하고, 욕을 먹고, 세상으로 부터 악하다고 내침을 받는다면, “복”이 있다고 말씀하십니다. 그리고 “하늘에 받을 상이 크다”고 말씀하시고 있습니다.
13. 예수님이 말씀하시는 “복”은 지금 몰려든 사람들의 의지와 방향과는 다른, 전혀 다른 이야기를 하고 계십니다. 예수님이 병을 고쳐 주십니다. 만지기만 해도 병이 낳을 것 같습니다. 그 중에 제자들도 뽑았습니다. 사람들이 더욱 몰려드는 가운데 예수님은 전혀 다른 방향의 “복”에 대해서 이야기합니다. 가난한자, 배고픈자, 눈물을 흘리는 자, 이것은 물질과 상관없이 삶에서 경험하는 아픔과 상처로 허우적 대는 사람들을 말합니다. 배고픈 자는 말그대로 먹을 것을 구하기 위해 하루 하루 견뎌내는 사람입니다. 전혀 희망이나 기대가 없는 삶의 자리에 있는 자들을 말하는 것입니다. 제자가 된 자들에게 예수님은 제자라는 삶이 이제 탄탄대로가 있는 것이 아니라, 미움을 받고, 배척당하고, 욕을 먹고, 세상으로부터 악하다는 취급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것도 복이라고 합니다.
14. 이어지는 24절에는 대조적으로 전혀 다른 이야기를 하십니다. “그러나”로 시작하는 문장은 곧 부요한 사람들은 화가 있다고 선언하십니다. 부자가 문제일까? 왜 부요한 자는 “화”를 받는다고 말씀하셨을까? 이어지는 구절에서 우리는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너희가 너희의 위안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15. 살다 보면, 어떤 것이 여러분들의 삶을 든든하게 합니까? 이번에 한국에 가서 동생이 준 교통카드가 아주 든든했습니다. 이것만 있으면 전철도 타고, 버스도 타고, 택시도 탈수 있으니 길을 잃어버릴 것 같지 않은 든든함이 생기니, 어딜 가도 두렵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큰 의지가 되기도 하고, 마치 모든 것을 다 알고 있고 갈수 있다는 평온함까지 얻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정말 이게 제 삶을 든든하게 합니까? 그 순간에만 그렇지 영원하지 않습니다.
16. 부유한 자는 부유한 재산때문에 화가 있는 것이 아니라, 부자라는 것으로 스스로 위안을 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스스로 위안을 받고 있다는 의미는 자기중심적으로만 이 물질을 사용한다는 의미입니다. 누구도 돌보지 않고, 자기 스스로 만족하는 것을 예수님은 화가 있다고 말씀하신 것입니다. 대조적으로 복이 있다 이야기 하실 때 가난한자를 돕는 구제행위를 말씀하신 이유는 여기에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지금 “배부른 사람들은” 화가 있다라고 말씀하신 것도, 스스로의 배를 채우기 위해서만 삶을 살아가는 자들을 가리키는 것입니다. 너희, 지금 웃는 사람들은 화가 있다는 것도 마찬가지로 다른 이들의 슬픔을 보지 못하고 자기의 삶에 안도하는 자들을 말하는 것입니다.
17. 예수님이 말씀하시는 복과 화는 그 기준이 간단합니다. 지금 삶의 방향에 누군가를 배려하거나, 돕기 위해 노력하거나, 공감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느냐 없느냐의 이야기입니다. 사람들이 몰려들었을 때 예수님은 정확하게 이런 삶을 살아야 한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여기에 하나 더, 예수를 믿는다는 것은 예수를 믿는다는 이유로 삶이 어려워질 수도 있다는 것을 기억하라는 것입니다.
18. 우리는 서로 관계라는 것을 하면서 살아갑니다. 누군가의 도움으로 또는 누군가를 도우면서 살아가게 됩니다. 이럴 때 내가 가진 관심과 집중을 포기해야만 할 때도 있습니다. 그리고 스스로를 든든히 하는 것을 포기해야 할 수 도 있습니다. 이렇게까지 삶을 살아야 제자일까? 그렇습니다. 그래야 우리는 예수님의 제자가 될 수 있습니다. 돕는다는 것이 어떤 때는 내가 의도하지 않게 다른 방향으로 이끌어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도움은 우리를 활기차게 하고, 새로운 도전에 대한 자극을 주기도 합니다. 우리는 이것을 Encourage라고 하기도 하고, 다르게 보면, Empowerment라고 부를수 있습니다. 이상합니다. 누군가를 위해 자기를 희생하거나 포기하거나 양보하는 것으로 우리는 힘을 얻을수 있습니다.
19. 기독교는 절대로 힘의 종교가 아닙니다. 기독교가 세상을 바꾼다는 것은 세상이 누리는 힘과 권력으로 뒤집어 엎겠다는 것이 아니라, 세상은 절대로 꿈꿀 수 없는 삶의 방식으로 세상을 향해 어느 곳을 가야 진정한 하나님의 사람의 삶인지를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20. 교회가 힘이 있다는 말은 우리 만이 아니라, 다른 누군가를 위해서 깊이 마음을 나누고 돕기 위해 기꺼이 우리의 삶을 나누겠다는 결단과 실천을 통해 드러나는 것입니다.
21. 교회창립주일에 우리끼리 기뻐하고 좋은 밥 먹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에 한발짝 더 나아가 아직도 밥을 굶고 있는 아이들을 위해서 우리들이 펀드레이징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아직도 밥을 굶고 있다니 이게 무슨~! 이렇게 이야기할지 모르지만, 여전히 밥 한끼를 먹기 위해 죽음 힘을 다해야 간신히 한끼를 챙겨먹을 수 있는 사람들이 이세상에 존재합니다.
22. 우리가 그리스도의 제자가 된다는 말은 바로 이런 현상과 현실 앞에서 여전히 무기력하고 상처받고 허우적거리는 자들에게 희망의 빛을 나누기 위해 노력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가난한 부자! 라는 말은 “굶주리고, 슬퍼하고, 눈물을 흘리는 자”들을 향해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만한 세상이다! 그리고 그안에서 주시는 예수님의 “복”을 누리며 살수 있다는 것을 삶으로 실천하는 자를 말하는 것입니다.
23. 열린교회 성도여러분! 우리들은 특별한 삶을 사는 존재가 아니라, 누군가에게 마음을 써가며 내가 가진 관심과 생각을 다른 사람에게 조그이나마 맞춰가며 이땅을 살아가는 존재입니다. 이것을 공감능력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우리는 이것을 “그리스도의 제자의 삶”이라고 이야기합니다.
24. 잘 기억하시고 이런 삶을 위해 함께 노력하는 저와 여러분이 되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Comments